о 이메일이나 웹을 이용한 자료수집은 기본적으로 기밀보장과 관련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, 다음과 같이 각 단계별로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합니다.
가. 연구대상자 모집: 온라인으로 연구대상자 모집공고를 하거나 모집하는 경우(예: 인터넷 광고, 이메일 발송, 배너 광고 등) 신문, 전화, 게시판 등을 통해 연구대상자를 모집할 때와 동일한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. 그리고, 연구대상자의 적절성은 온라인 모집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며, 추후 연구결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절차가 마련되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연구자는 연구대상자에게 개인식별번호(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, PIN)을 통해 자기인증을 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나. 자료수집: 온라인으로 수집된 자료는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어야 하며, 개별 응답자료가 응답자에게 역추적되어서는 안됩니다. 또한, 만약 자료가 공유되면 응답자에게 위험이 가해질 수 있다면 가장 높은 수준의 암호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.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특정 사양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독려할 수 있습니다. 각 질문의 답가지에 “응답하지 않음”을 추가하고, 설문의 끝에 연구대상자가 설문조사를 철회하고자 하는 지를 물어보는 항목을 추가합니다,
다. 서버: 온라인 자료수집에서 서버는 인터넷 보안에 대해 전문가가 관리해야 하며, 서버에 대한 접근은 소수의 관련자로 제한하며, 외부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방화벽을 설정하고, 주기적으로 서버의 안전성을 점검합니다.
라. 자료보관/폐기: 개인식별정보와 IP 주소는 연구자료와 분리하여 보관하고, 모든 자료는 암호화하여 보관합니다. 자료백업은 접근이 제한되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며, 자료폐기시에는 폐기된 자료를 복원하지 못하도록 파괴전문가에게 의뢰합니다. 최소위험연구로 보안관리자가 없다면 동의서에 완전한 기말보장이 어려울 수 있음을 기술합니다.